본문 바로가기

약술형논술(가천대)

가천대 적성고사 영어, 어디에서 출제되는가?

반응형

가천대 적성고사 영어가 어디에서 출제되는지에 대한 질문이 많습니다.

가천대 적성 국어의 경우는 눈으로만 봐도 EBS에서 지문이 발췌된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우리말이라 눈에 바로 띄는 것이죠.

하지만 영어의 경우는 EBS 수특과 수완을 꼼꼼히 보지 않은 학생들의 경우 이 지문이 EBS에 있던 지문인가 갸우뚱거리는 일이 흔히 있습니다.

특히 수학의 경우는 적성고사에서 수식이나 숫자만 바꿔도 그 출처가 EBS인지 전혀 감을 잡지 못합니다.

어쨌든 가천대 적성고사의 국어와 수학, 그리고 영어는 철저히 EBS 수특과 수완을 활용한다는 사실,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합니다.

이런 글을 쓰는 이유는 얼토당토 않은 시중 가천대 적성고사 대비 문제집을 가지고 시간, 돈, 노력을 낭비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에서입니다.

 

 

가천대 적성고사의 국어와 수학의 경우, 어떻게 EBS를 활용하는지 이미 글을 올린 적이 있습니다.

 

https://logos21.tistory.com/114

 

2019 가천대 적성고사 국어는 어디서 출제되었나?

가천대는 적성고사를 보는 12개 대학 중 학생들에게 가장 관심이 높습니다. 일차적으로 가천대는 적성전형 단일 전형으로 1,000명이 훌쩍 넘는 인원을 선발합니다. 논술고사, 적성고사 등 대학별고사를 실시하는..

logos21.tistory.com

https://logos21.tistory.com/116

 

2019 가천대 적성고사 수학 문제 출처?

앞의 글에서 2019학년도 가천대 적성고사의 국어 제시문 출처를 소개했습니다. https://logos21.tistory.com/114 2019 가천대 적성고사 국어는 어디서 출제되었나? 가천대는 적성고사를 보는 12개 대학 중 학생들..

logos21.tistory.com

 

가천대 적성고사의 국어와 영어의 출처에 대해 궁금한 학생들은 위에 링크된 글도 읽어보기 바랍니다.

이번 글에서는 2019학년도 가천대 적성고사의 영어 영역에서 작년도 EBS를 어떻게 반영했는가를 소개합니다.

 

 

위의 표를 보면 A set라고 되어 있습니다.

가천대 적성고사는 하루에 4번 시험을 봅니다.

1,000명이 넘는 인원을 적성고사로 선발하는데, 경쟁률이 작년에 29:1이었습니다.

쉽게 말해 하루 동안 3만 명 정도가 가천대 적성고사를 보기 위해 성남의 가천대 글로벌 캠퍼스를 방문합니다.

그래서 하루 4번에 나눠 시험을 보고, 그에 따라 적성고사 시험지 역시 A~D set까지 4종의 문제지가 있는 것입니다.

위의 표는 그 중 A set에서 EBS를 어떻게 반영했는가를 나타낸 것입니다.

 

그렇다면 가천대 입학처 홈페이지에는 A~D set를 모두 공개하나요?

다른 대학의 경우도 하루에 2~3번 정도 나눠 시험을 실시하게 되면 대부분 2~3종의 문제지를 공개합니다.

예를 들어 을지대의 경우도 3번에 나눠 보는 적성고사 문제지 3종을 모두 공개합니다.

가천대는 모의적성고사는 3월, 5월 2종을 모두 공개합니다.

하지만 실제 기출문제는 A set 하나만 공개합니다.

그런데 위에 링크된 국어와 수학의 경우는 A~D set까지 EBS 출저가 다 나와 있습니다.

영어도 역시 A~D set까지 위의 표처럼 출처가 다 있습니다.

나머지 것들은 가천대 입학처 홈페이지에 있는 선행학습영향평가보고서를 바탕으로 한 것입니다.
로고스멘토학원에서 적성고사 대비 수업을 하는 학생들은 이미 이런 출처를 수업 시간 중에 듣고 보고 해서 다 알고 있기도 합니다.

 

이번 글에서 영어는 A set 외에 D set 하나를 더 추가하도록 하겠습니다.

이 두 개의 출저만 가지고도 가천대 적성고사를 준비하기 위해 EBS를 철저히 봐야 한다는 것은 충분히 알 것이기 때문입니다.

 

가천대 적성고사는 수능 후 11월 24일(일)에 실시합니다.

아래에 있는 로고스멘토학원의 가천대 적성고사 대비 시간표도 잘 보고 시험 대비에 만전을 기하기 바랍니다.

수강을 원하는 학생은 아래 학원 로고의 전화번호로 문의 및 수강 예약을 하기 바랍니다.

 

 

반응형